[NETWORK] HOST && PART
| CONTENTS
- STORY
- HOST && NETWORK PART
- IP ADDRESS
| STORY
HOST를 설명하기 전에, 이야기 하나를 보자.
Host는 뭐고 Router는 뭐고 대체 뭘까 이게?
이번 시간에는 호스트와 네트워크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자.
| HOST && NETWORK PART
HOST (= end systems) : 인터넷 상에 연결된 개별적인 장치(Device)를 지칭하는 말이다.
(ex. PC, Server, Wireless laptop, Smartphone)
그럼 위의 이야기에서 HOST는 무엇일까?
바로 PC 하나 하나가 다 호스트이다.
호스트는 네트워크 상에서 사람 개개인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.
호스트와 네트워크 부분(PART)을 같이 설명하기 위해 IP 주소 이야기를 해보겠다.
IP 주소는 234.312.312.1 이런 식으로 생긴건 누구나 한 번쯤 봤을 것이다.
이렇게 점 3개로 구분되어 4가지 영역이 생기는 것을 4 옥테트라고 하는데,
이러한 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. 자세한 설명은 IP 파트에서 설명하겠다.
다시 위의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.
100대의 PC는 모두 같은 네트워크망에 있다.
여기서 우리는 한 가지 알아야 한다.
하나의 네트워크망에서는 네트워크 부분은 모두 같아야하고, 호스트는 모두 달라야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.
만약, HOST가 동일하다면 그 컴퓨터 IP는 통신이 불가능하다.
| IP ADDRESS
자 그렇다면, 이제 IP 주소에 어느 부분이 PART고 HOST일까?
IP 주소 대역이 202.151.179.1 ~ 202.151.179.255 라면
이 중에서 202.151.179 부분은 네트워크 부분(PART) 그리고 1 ~ 255는 호스트 네트워크가 된다.
그렇다면, 같은 네트워크망에서 두 사람이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?
두 사람의 네트워크 속성을 들어가서 IP 주소를 확인해 본다면, 같은 네트워크망을 사용하기 때문에,
PART 부분은 같을 것이고, HOST는 다를 것이다. 한 번 실험해 보기 바란다.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IPv4와 IPv6의 특징 (0) | 2020.09.07 |
---|---|
[NETWORK] Computer Network - Week 1 (0) | 2020.09.06 |
[NETWORK] PACKET (0) | 2020.09.01 |
[NETWORK] OSI MODEL (0) | 2020.09.01 |
[NETWORK] 공유기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호스트 확인하기 (0) | 2020.09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