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


| CONTENTS - IPv4의 특징 - IPv4의 표현방법 - IPv6의 특징 - IPv6의 표현방법 | IPv4의 특징 IPv4 (Internet Protocol version 4) IPv4란 흔히 우리가 아는 그 IP주소라고 말하는 그것이다. IPv4는 32 bit의 주소를 가지며,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을 포함한 대부분의 네트워크가 사용하고 있는 IP 프로토콜의 주요 버전이다. 장점 : 패킷의 단편화, Header value의 접두사가 고정이라 쉽게 주소 클래스를 찾을 수 있음 단점 : 주소부족, Qos불만족, 보안문제 | IPv4의 표현방법 IPv4 는 흔히 우리가 아는 IP 주소 표현 방식으로 표현한다. 135.0.0.51 이나 183.22.81.123 처럼 4개의 구분된 10진수..


본 포스팅은 Captainenglish님의 블로그 포스팅을 참고하였습니다.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신다면 아래의 주소를 참고해 주세요. Captainenglish님, 질 좋은 가르침 감사합니다. 출처 : blog.naver.com/captainenglish95/222027448333 a number of , the number of 완벽 비교 안녕하세요 Captainenglish 입니다.오늘은 이웃님 중 한 분이 비밀 댓글로 질문을남겨주셨는데요. a num... blog.naver.com | CONTENTS - A NUMBER OF - THE NUMBER OF | A NUMBER OF A number of 의 A는 기본적으로 1개라는 의미가 아니다. 1개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one으로 나타낸다. 그렇..


컴퓨터 네트워크 수업 1주차에서는 1.1 ~ 1.4의 내용을 다룹니다. 먼저 1.1 what is the Internet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 Host = end systems = client 모두 동일한 의미이다. Host란 pc, server, wirless laptop, smartphone과 같은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는 장치라고 생각하면 된다. network apps 는 흔히 우리가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이용하는 어플들이나 웹 브라우저와 같은 것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 communiaction links는 간단히, 네트워크를 통하는 장치들을 연결해 주는 연결 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 (무선 or 유선) bandwidth 는 transmission rate 라고도 부르는데, 이것은 비트가 단위 시간당..


| CONTENTS - PACKET - PACKET TRANSMISSION DELAY | PACKET PACKET : OSI 7계층 중 3층인 Network Layer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(PDU)이다. Host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이 있는데, 전송하려는 데이터를 chunk라는 것으로 자른다. 이 잘린 데이터를 Packet 이라고 하는데, 전송하려는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로 자른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 packet은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 단위이다. Network Layer 에서 주고받는 데이터는 모두 Packet이다. 2020/09/01 - [NETWORK] - [NETWORK] OSI MODEL | PACKET TRANSMISSION DELAY 패킷을 전송할 때 걸리는 시간을 구하는 방법..


| CONTENTS - HOST OF MAC - HOST OF IPHONE - BYE | HOST OF MAC IPv4 Address 가 해당 네트워크의 IP 주소이다. MAC의 네트워크 호스트 부분을 보면 14라고 적혀 있다. Router 는 공유기가 가지고 있는 IP 주소인데 HOST가 1으로 찍히는 것을 볼 수 있다. 호스트에 대해 알고 싶다면? --> 2020/09/01 - [NETWORK] - [NETWORK] HOST && PART | HOST OF IPHONE 동일한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있는 아이폰의 호스트 부분은 16이라고 찍혀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 | BYE 이로서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두 장치(device)의 호스트 부분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

| CONTENTS - STORY - HOST && NETWORK PART - IP ADDRESS | STORY HOST를 설명하기 전에, 이야기 하나를 보자. Host는 뭐고 Router는 뭐고 대체 뭘까 이게? 이번 시간에는 호스트와 네트워크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자. | HOST && NETWORK PART HOST (= end systems) : 인터넷 상에 연결된 개별적인 장치(Device)를 지칭하는 말이다. (ex. PC, Server, Wireless laptop, Smartphone) 그럼 위의 이야기에서 HOST는 무엇일까? 바로 PC 하나 하나가 다 호스트이다. 호스트는 네트워크 상에서 사람 개개인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. 호스트와 네트워크 부분(PART)을 같이 설명하기 위해 IP..


| CONTENTS - PARAMETER - ARGUMENT - DIFFERENCE | PARAMETER PARAMETER : 매개변수라고도 부르며, 함수의 정의 부분에서 사용한다. | ARGUMENT ARGUMENT : 호출인자라고도 부르며, 함수의 호출 부분에서 사용한다. | DIFFERENCE Sum( 1 , 2 ); int Sum(int n, int m) { return n + m; } 위와 같을 때 Sum( 1 , 2 ) 의 1과 2는 argument 이고, int Sum(int n, int m) 의 n과 m은 parameter 이다.